기타2012. 2. 3. 14:03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두 개 또는 여러 개 동시에 멀티 실행해서 듀얼 모니터 등으로 분리해서 보는 방법 (MS Office 2007기준)

1. 워드(MS-WORD)

- 현재 복수 개 실행해서 여러 창에서 볼 수 있음


2. 엑셀(MS-EXCEL)
- 탐색기에서 해당 엑셀 파일을 실행하면 첫 번째 열린 엑셀로 붙어서 여러 개 실행되기 때문에 분리가 안됨
(듀얼 모니터에서 이동시 동시에 세트로 같이 이동됨)
- 엑셀을 여러 개 실행한 후 각각 분리해서 볼 수 있다.
예: 바탕화면에서 엑셀아이콘을 눌러서 엑셀 실행한다. 그리고 "열기" 메뉴로 파일 하나(파일1)를 연다.
또다시 바탕화면에서 엑셀아이콘을 눌러서 엑셀 실행한다. 그리고 또 다른 파일 하나를 "열기" 메뉴로 연다.
이제 엑셀을 드래그 하여 다른 듀얼 모니터로 이동 할 수 있다. 한 화면에서 여러 개 분리하여 실행 가능하다.


3. 파워포인트 (MS-PowerPoint)
- 현재 환경에서는 분리가 안 된다. 현재 파워포인트 실행 환경을 변경해야 한다.
- 환경을 변경한 PPCORE.DLL 파일을 첨부하니 이것을 C:\Program Files\Microsoft Office\Office12 폴더에 복사한다.
(복사하시기 전에 PPCORE.DLL 파일 복사본을 백업 받아서 안될 경우 원상복구 한다.)

(첨부 파일은 네이버 블로그 사이즈 제한으로 분리하여 올립니다. 같은 폴더에 놓고 ppcore-mong.alz 만 압축해제하면 ppcore.dll로 풀립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앱 개발 시 유념해야할 내용들..  (0) 2012.11.05
Eclipse Plug-in 삭제 방법  (0) 2012.03.12
이클립스 한글 폰트 문제  (0) 2012.02.15
SVN 파일 삭제  (0) 2012.02.13
대용량 excel export  (0) 2012.02.09
Posted by 미랭군
데이터베이스2012. 1. 30. 16:32

CREATE TABLESPACE "신규 테이블 스페이스명"
DATAFILE 'D:\ORACLE\PRODUCT\10.2.0\DB_1\DATABASE\"신규 테이블 스페이스명.dbf"
SIZE 1073741824 AUTOEXTEND OFF LOGGING
ONLINE PERMANENT EXTENT MANAGEMENT LOCAL AUTOALLOCATE ;

-- 임시테이블 스페이스 생성
CREATE TEMPORARY TABLESPACE "신규 임시테이블 스페이스명"
TEMPFILE 'D:\ORACLE\PRODUCT\10.2.0\DB_1\DATABASE\"신규 임시테이블 스페이스명"'
SIZE 104857600 AUTOEXTEND OFF EXTENT MANAGEMENT LOCAL UNIFORM
SIZE 1048576 ;

-- 계정생성
CREATE USER "계정명"
IDENTIFIED BY VALUES 'D91CE2F6ADFDBCBF'
DEFAULT TABLESPACE TS_LODRIGOCEON_DATA
TEMPORARY TABLESPACE TS_LODRIGOCEON_TEMP
QUOTA UNLIMITED ON "신규 테이블 스페이스명"
PROFILE DEFAULT
ACCOUNT UNLOCK ;

-- 권한설정
GRANT CONNECT TO "계정명";
GRANT RESOURCE TO "계정명";
GRANT UNLIMITED TABLESPACE TO "계정명";

-- 비번변경
ALTER USER "계정명" identified bY "비밀번호";

Posted by 미랭군
데이터베이스2012. 1. 26. 14:21

지금껏 오라클을 사용하면서도 SID와 Service Name은 거의 구분해서 사용하지 않았다.

덕분에 최근까지는 SID와 Service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사용해 왔다.

사실 일반적인 테스트 환경이나 소규모의 경우 한개의 DB서버에 한개의 인스턴스만 사용한다.

이런 환경에서는 SID와 Service Name을 구분할 필요가 없었던것.

단순히 구분짓자면 이렇게 말할수 있다.

SID = DB 하나의 인스턴스

Service Name = 여러개의 인스턴스를 모아 하나의 서버 혹은 시스템을 구성한것

쉽게 예를 들어보자.

서버 한대에 인스턴스를 여러개 생성하여 orcl1, orcl2 로 각각 생성했다고 하자.

각각의 인스턴스는 orcl1, orcl2 라는 SID를 갖게 된다.

해당 서버에서 두개의 인스턴스를 묶어 사용할경우, orcl 이라는 Service Name을 갖을수 있다.

이외에도 서버 두대에 설치하여 각각 미러링 처리하여 동일한 서버인것 처럼 활용할경우

각각의 서버는 서로다른 SID를 갖게 되지만 Service Name을 동일하게 하여 같은 서버 처럼 활용할수 있다.

Posted by 미랭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