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2017. 12. 21. 13:20

전산기초

프로세스와 쓰레드의 차이?

Context Switching이란?

64비트와 32비트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자료구조
정렬 기법 중 가장 빠른 방법은? 왜 그런가?

Email 정규식을 만들어 보시오.(어려우면 전화 번호)

디자인 패턴이란 무엇인가?

디자인 패턴을 아는 대로 얘기해 보시오.



실무

사용해본 version control 서버는?

oAuth에 대해서 설명해 보시오.

DB

DB 정규화란 무엇인가?

merge 구문에 대해서 설명해 보시오.

Oracle의 NVL함수의 ANSI-SQL 표기법은?

Index란 무엇이며, 이것을 사용했을 때 장단점은?


JAVA

Framework이란 무엇인가?

Library와 Framework의 차이점

사용해본 Framework은?

컴파일 과정 및 실행 과정을 설명해보세요.

interface와 abstract 구문을 사용하는 이유?

캡슐화와 은닉화? 차이는 무엇인가?

자신을 OOP의 관점에서 설명해보라

String, StringBuilder, StringBuffer의 차이는?

JAVA의 Garbage Collector는 어떻게 동작하는지.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의 차이

추상화란?

자바에서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클래스의 차이는?

자바에서 == 와 Equals() 메서드의 차이는?

리플렉션이란?

프로세스를 이루는 각 메모리 영역에 대한 이해(코드, 데이터, 스택 힙)

JVM은 무엇이며, 왜 자바를 플랫폼 독립적이라고 이야기 하는지 설명하시오.

JDK와 JRE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static 키워드의 의미는 무엇이며, static method는 오버라이딩할 수 있나요?

static context에서 non static 변수에 접근 가능한가요?

자바 기본형 데이터 타입을 아는 데로 적어보세요.

자바에서 함수 오버라이딩과 오버로딩이 무엇이며, 어떠한 경우에 필요한지요?

인터페이스와 추상 클래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또 인터페이스는 어떠한 경우에 필요한지요?

프로세스와 쓰레드의 차이점은?


웹 기초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어떤 페이지를 요청하면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해보시오.

http method 4가지 설명해보라

REST API에 대해 설명해보라

XML, JSON이란 무엇이며 장단점에 대해서 설명해보세요.

UTF-8이란 무엇인가?

UTF-8과 UTF-16에서 각각 한글은 몇 byte를 차지하나?

URL과 URI의 차이점?

URL encode란 무엇인가?

쿠키(Cookies)와 세션저장소(sessionStorage)와 로컬저장소(localStorage)의 차이점을 설명해주세요.


웹개발

data-속성은 무엇을 하는 것인가요? 사용했을 때 이점은 무엇인가요?

class와 id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Javascript

AJAX란 무엇인가?

jquery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jquery 원리나 소스를 들여다 본 적 있나?

jquery plug-in 제작해 본 적 있나?

jquery에서 live와 bind의 차이는 무엇인가?

spa에 대해서 설명해보시오.

현재 가장 핫한 javascript framework에 대해서 아는데로 설명해주세요.

javascript의 prototype에 대해서 설명해보라

javascript의 closure에 대해서 설명해보라

동기와 비동기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보세요.


보안

Sql Injection과 XSS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Sql Injection을 이용해서 로그인 인증을 우회하는 방법을 설명해보시오.

단방향 암호화와 양방향 암호화의 차이를 설명해주세요. 또 각각 대표적인 알고리즘이 무엇인지 말해주세요.


관심정도

개인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해 본 적이 있나?

다른 언어를 공부 한 적 있나?

최근에 본 IT뉴스 중에서 가장 관심 있었던 기사는?

IT관련 업계에서 존경하는 인물이 있다면?

왜 존경하는지 말해 보시오.

왜 프로그램을 시작하게 되었나?

왜 그 언어(C, C++, JAVA)를 하게 되었나?

(프로그램의)어떤 부분에 흥미를 가지나?

어떻게 공부하나?

(프로그램) 책은 얼마나 읽나?

(프로그램) 책 중에 내용이 너무 괜찮아서 남들에게 꼭 권해주고 싶은 책?

프로그램 동호회에서 활동해 본 적이 있나?

오픈 소스에 대해서 생각하는 바를 말해보시오.

오픈 소스 프로젝트 중에 가장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는 프로젝트가 있다면?

잘 짜여진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 자신만의 신조나 신념이 있다면?

개발자로써 꿈이 있다면?

그 꿈이 만들고 싶은 프로그램이라면 어떤 것을?


기타

프로젝트가 주어졌는데 회사에서 아무도 경험 해본 적이 없는 분야다. 어떻게 진행 할 것인가?

해 왔던 업무 중 가장 힘들었던 업무(기술적)는 왜? 어떻게 해결 했나?

힘들지만 보람 있었던 업무가 있었다면?

프로그램이 막힐 때 참고 하는 사이트는?

친구 중에 프로그램 하는 사람은 몇 명이나?



Posted by 미랭군
기타2017. 12. 20. 18:39

추석 트래픽(난이도: 상)

이번 추석에도 시스템 장애가 없는 명절을 보내고 싶은 어피치는 서버를 증설해야 할지 고민이다. 장애 대비용 서버 증설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작년 추석 기간인 9월 15일 로그 데이터를 분석한 후 초당 최대 처리량을 계산해보기로 했다. 초당 최대 처리량은 요청의 응답 완료 여부에 관계없이 임의 시간부터 1초(=1,000밀리초)간 처리하는 요청의 최대 개수를 의미한다.

입력 형식

  • solution 함수에 전달되는 lines 배열은 N(1 ≦ N ≦ 2,000)개의 로그 문자열로 되어 있으며, 각 로그 문자열마다 요청에 대한 응답완료시간 S와 처리시간 T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다.
  • 응답완료시간 S는 작년 추석인 2016년 9월 15일만 포함하여 고정 길이 2016-09-15 hh:mm:ss.sss 형식으로 되어 있다.
  • 처리시간 T는 0.1s0.312s2s 와 같이 최대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기록하며 뒤에는 초 단위를 의미하는 s로 끝난다.
  • 예를 들어, 로그 문자열 2016-09-15 03:10:33.020 0.011s은 “2016년 9월 15일 오전 3시 10분 33.010초”부터 “2016년 9월 15일 오전 3시 10분 33.020초”까지 “0.011초” 동안 처리된 요청을 의미한다. (처리시간은 시작시간과 끝시간을 포함)
  • 서버에는 타임아웃이 3초로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처리시간은 0.001 ≦ T ≦ 3.000이다.
  • lines 배열은 응답완료시간 S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되어 있다.

출력 형식

  • solution 함수에서는 로그 데이터 lines 배열에 대해 초당 최대 처리량을 리턴한다.

입출력 예제

예제 1

  • 입력: [ “2016-09-15 01:00:04.001 2.0s”, “2016-09-15 01:00:07.000 2s” ]
  • 출력: 1

예제 2

  • 입력: [ “2016-09-15 01:00:04.002 2.0s”, “2016-09-15 01:00:07.000 2s” ]
  • 출력: 2
  • 설명: 처리시간은 시작시간과 끝시간을 포함하므로 첫 번째 로그는 01:00:02.003 ~ 01:00:04.002에서 2초 동안 처리되었으며, 두 번째 로그는 01:00:05.001 ~ 01:00:07.000에서 2초 동안 처리된다. 따라서, 첫 번째 로그가 끝나는 시점과 두 번째 로그가 시작하는 시점의 구간인 01:00:04.002 ~ 01:00:05.001 1초 동안 최대 2개가 된다.

예제 3

  • 입력: [ “2016-09-15 20:59:57.421 0.351s”, “2016-09-15 20:59:58.233 1.181s”, “2016-09-15 20:59:58.299 0.8s”, “2016-09-15 20:59:58.688 1.041s”, “2016-09-15 20:59:59.591 1.412s”, “2016-09-15 21:00:00.464 1.466s”, “2016-09-15 21:00:00.741 1.581s”, “2016-09-15 21:00:00.748 2.31s”, “2016-09-15 21:00:00.966 0.381s”, “2016-09-15 21:00:02.066 2.62s” ]
  • 출력: 7
  • 설명: 아래 타임라인 그림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1초 각 구간의 처리량을 구해보면 (1)은 4개, (2)는 7개, (3)는 2개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당 최대 처리량은 7이 되며, 동일한 최대 처리량을 갖는 1초 구간은 여러 개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 문제에서는 구간이 아닌 개수만 출력한다.

문제 해설

이번 테스트의 마지막 문제이고, 가장 어려운 문제입니다. 초당 최대 처리량이 되는 구간 윈도우를 찾아야 하는 문제인데요. 당연히 처음부터 끝까지 스캔하기에는 범위가 너무 크고, 게다가 ms 단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첫 로그 시각부터 마지막 로그 시각까지 1ms씩 증가시키면서 1000ms 단위의 슬라이딩 윈도우로 풀면 24 * 3600 * 1000 * n * 1000ms 만큼의 연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렇게는 풀 수가 없습니다.

그렇다고 각 로그의 시작 시각부터 마지막 시각까지 1ms 씩 움직이면 time(ms) * n^2 이 되며, time(ms)의 값은 대부분 천 단위 이상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타임아웃이 발생하여 풀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자세히 살펴보면 요청량이 변하는 순간은 각 로그의 시작과 끝뿐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로그 별 2번의 비교 연산만 수행하면 되며 2 * n^2, 빅오로 정리하면 O(n^2)에 풀 수가 있습니다. 빅오에서 제거된 상수항도 매우 작기 때문에 이 경우 무리 없이 문제를 풀 수 있게 되며 C++ 기준으로 10ms를 넘지 않습니다.

물론, 이 문제는 윈도우를 사용하지 않고도 풀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쓴다면, O(n log n)으로 풀 수 있는 방법도 있으니 한 번 고민해보세요. 이 문제는 가장 어려운 문제였던 만큼 정답률은 가장 낮은 17.99%입니다.



흠..머리가 나빠서 뭐라하는지 모르겠지만 그냥 시간을 ms로 변환하여 1000ms짜리 index(즉 ms/1000으로 나눈 값)로 변환해서 Map에 key, value로 넣고 1초 미만, 2초 미만, 3초 미만이냐에 따라서 index값에 각각 접근하여 +1씩 더해주고 가장 큰 값을 구하면 되지 않을까?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혜를 갈구하는 기도  (0) 2015.05.21
[SVN] branch, tag, trunk 차이  (0) 2015.04.08
WebGL로 구현한 사이트  (0) 2014.10.30
스탠드업 회의  (0) 2013.11.18
SVN(subversion) branches, tags, trunk 에 대한 개념  (0) 2012.11.05
Posted by 미랭군
데이터베이스2017. 12. 20. 15:23

MAX, MIN 이 여러 Row (행) 중에서 해당 Column (혹은 표현)의 최댓값/최솟값을 선택하는 거라면

GREATEST, LEAST는 여러 Column (열 혹은 표현) 중에서 최댓값/최솟값 구하는 함수


SELECT MAX(COL_1), MIN(COL_2)

FROM TABLE_1


요건 한 개의 Row만 리턴... 해당 컬럼의 모든 Row를 대상으로 비교


SELECT GREATEST(COL_1, COL_2, COL_3, ...), LEAST(COL_1, COL_2, COL_3, ...)

FROM TABLE_1


요건 여러 개의 Row 리턴. 최대, 최소는 해당 Row의 컬럼간 비교


SELECT GREATEST(3, 2, 1, 10), LEAST(10, 9, -1, 5)

FROM DUAL

Posted by 미랭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