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static const SEC_PER_MINUTE:int = 60;
  public static const SEC_PER_HOUR:int = 3600;
  public static const MINUTE_PER_HOUR:int = 60;
  public static const SEC_PER_DAY:int = 86400;

  var input:Number = item.sysUptime;

     var day:int;
     var hour:int;
     var min:int;
     var temp:int;
     
     day = input / Constants.SEC_PER_DAY;
     hour = input % Constants.SEC_PER_DAY / Constants.SEC_PER_HOUR;
     min = input % Constants.SEC_PER_HOUR / Constants.SEC_PER_MINUTE; //시간단위로 나눌 수 없는 나머지 초는 분 단위로 표시 가능
     if(day > 0) {
      sysUptime =day + "일 " + hour + "시 " + min + "분";
     } else if(hour > 0) {
      sysUptime = hour + "시 " + min + "분";
     } else {
      sysUptime = min + "분";
     }

 

Posted by 미랭군
데이터베이스2012. 11. 20. 17:32

오라클에서 날짜의 간격을 초단위로 출력하는 방법이다.

코드에서 처리하지 않고 쿼리로 처리하여 간편하게 처리 할 수 있다.

TO_NUMBER((SYSDATE - WORKDATE) * (24 * 60 * 60))

SYSDATE : 시스템의 시간 초단위까지 나온다.

WORKDATE : 시스템을 날짜를 저장한 컬럼

우선 시스템의 시간으로부터 내가 저장한 시간을 뺀다. 둘다 DATE형이기때문에 형변환 없이 계산이 된다.

그렇게 계산을 하면 0.087263871623 처럼 값이 나오게 된다. 정확히 무슨 계산을 해서 저런 값이 나왔는지 분석은 해보지 않았지만

그 값에 하루를 초로 나타낸 값 (24 * 60 * 60)을 곱해주면 초단위로 출력이 가능하다.


SELECT

TO_NUMBER((SYSDATE - WORKDATE) * (24 * 60 * 60))

FROM

테이블명 . .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developer 한글판 영문으로 바꾸기  (0) 2013.03.11
MS SQL JDBC 등록 방법  (0) 2013.01.08
Tomcat DBCP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0) 2012.09.03
Tomcat DBCP 설정법  (0) 2012.09.03
MyBatis 문자열 대체 방법  (0) 2012.08.24
Posted by 미랭군
리눅스2012. 11. 14. 11:32

사용자 계정 생성 및 암호 설정(useradd, passwd)


useradd
[옵션] [인자값] ... 사용자 계정(로그인 계정)
[옵션]
-D : (디렉토리) 기본값으로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토리 <-- [root@www ~]# cd /home/생성한 사용자 계정
-c : (설명) 사용자 설명글 추가
-e : (유효기간) 지정된 날짜에 사용자의 계정을 삭제
-f : (비활성일 수) 패스워드가 만기된 후 계정이 영구히 말소될 떄까지의 기간
-u : (uid) 사용자 UID에 대한 값
-s : (shell) 사용자 로그인 쉘을 지정
-n : 사용자 계정 추가 기본 모드를 지정하지 않을 때
-g : (그룹) 그룹을 지정하면 지정한 그룹에 속하게 된다.
-G : (그룹,...) 사용자가 기본 그룹 이외의 다른 그룹에 추가하고자 할 떄
-M : 사용자 디렉토리없이 계정 생성

passwd 사용자 계정(사용자 계정이 root라면)

사용자 계정 속성 변경(usermod)

usermod [옵션] [인자값] ... [계정명]

 

etc/passwd에 저장된 정보 보는 법

root : 사용자 계정(이름)
x :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 (암호화방식이면 x로 표시, /etc/shadows 파일에 암호화되어 있다.)
0 : 사용자 계정 ID(uid)
0 : 사용자 계정이 소속된 그룹 ID(gid)
root : 사용자 계정의 설명(정보)
root :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토리
/bin/bash :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쉘

 

Posted by 미랭군